글을 쓰고 싶지만 책상에만 앉으면 가슴이 답답하고 글이 써지지 않는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 있다.
그것은 바로 적은 양이라도 꾸준하게 쓰는 것이다.
힙합가수 지코는 1 day 1 verse라는 목표를 정해놓고 하루도 빠짐없이 꾸준하게 가사를 썼다. 그 결과 힙합씬에서 가사를 잘 쓰는 트렌디한 래퍼 중 한 명이 되었다. 결국 어떠한 상황에서도 매일 글을 쓰려면 글 쓰는 근육이 튼튼해야 한다.
핵심은 ‘글 쓰는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글 쓰는 습관을 만들 수 있을까?

01. 댕청하게 쓴다
글은 엉덩이로 쓰지 않는다. 억지 노력으로 쓴 글은 진정성이 없다. 즐거워야 한다. 즐거운 마음이, 에너지가 글에 묻어나야 한다. 억지 노력 속에는 긴장과 공포의 에너지가 들어있다. 실수의 두려움을 버리고 글 쓰는 상황을 즐겨야 한다. 두려움을 제거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쪽팔림을 즐기는 것이다. 댕청하게 글 쓴다. 댕청해지면 즐겁고 기분이 유쾌하다. 어떻게든 술술 글이 써진다. 물론 초고는 걸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흔적을 남긴 글들은 하나둘씩 갈무리를 더해가며 연마된다. 그러니 댕청한 마음으로 글을 써보자.
한 줄이라도.
02. 공언하고 인증한다
꾸준하게 쓰는 게 핵심이다. 꾸준하게 쓰려면 강제성이 필요하다.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자. 매일 한 줄이라도 글을 쓰겠다고 공언해라. 책임감 때문이라도 어떻게든 쓰게 된다. 처음에는 한 줄이지만 글 쓰는 근육이 붙으면 두줄 세줄로 늘어난다.
나는 지금까지 제대로 턱걸이를 해본 적이 없었다. 어느 날, 누군가 쉽게 턱걸이를 하는 모습을 보고 만만하게 보고 턱걸이를 시도했지만 한 개도 하지 못했다. 그래서 오기가 생겨 틈만 나면 철봉에 매달렸다. 잘 올라가지 않는데도 어떻게든 끙끙거리며 매달렸다. 턱걸이를 위한 보조도구도 샀다. 그렇게 한 10일 정도 지났을까? 드디어 천신만고 끝에 턱걸이 1개를 성공했다.
글쓰기도 이와 같다.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못할 것 같은 두려운 생각은 애초에 하지 말자. 시작하면 어떻게든 하게 된다. 누군가 했다면 나도 할 수 있다. 그러니 지금 당장 공언하자.
“나 매일 한 줄씩 글 써요~”
03. 보상받는다
스스로에게 상을 주자. 공언하고 인증하는 습관을 일정 시간 달성했다면 스스로에게 상을 주자. 맛있는 치킨을 먹어도 좋다. 자신에게 선물을 줘도 좋다. 작지만 소소한 보상시스템을 만들어서 글 쓰는 과정이 일이 되지 않고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항상 흥미진진하게 만들고 유지하자.
04. 틈나는 대로 메모한다
불현듯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가 있다. 그럴 때는 무조건 메모하자. 휴대폰 메모장도 좋다. 녹음 어플을 사용하는 것도 추천한다. 앉아서 글을 쓸 때보다 말로 이야기할 때 더 자연스럽게 이야기가 되는 경우들이 있다. 요즘은 기술이 좋아져서 음성을 텍스트로도 변환해 주는 기술이 있으니 걱정하지 말자. 휴대폰 단축키로 녹음앱을 세팅해 두고 생각나면 수시로 녹음하고 글감으로 활용하자.
05. 하루의 시작을 글쓰기로 시작한다
가장 중요한 일은 처음에 처리한다. 왜냐하면 가장 에너지가 넘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여유시간을 찾으려고 하면 보통 퇴근 후를 생각하는데 일을 마치고 돌아오면 녹초가 되기 때문에 글을 쓸 여력이 남지 않는다. 글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면 가장 에너지가 쌩쌩할 때, 하루를 시작하는 첫 임무로 글쓰기를 선택하자.
06. 환경에 변화를 준다
지루함은 창의력의 적이다. 글쓰기는 일종의 창작이다. 지루하고 재미가 없으면 창작이 잘 되지 않는다. 그럴 때는 환경을 바꾼다. 밖에 나가서 가볍게 산책을 해본다던지 동네 분위기 좋은 카페에 가본다. 세계적인 작가 스테판 킹도 매일 산책하는 습관을 들였다고 한다.
글을 쓰고 싶지만 책상에만 앉으면 가슴이 답답하고 글이 써지지 않는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 있다.
그것은 바로 적은 양이라도 꾸준하게 쓰는 것이다.
힙합가수 지코는 1 day 1 verse라는 목표를 정해놓고 하루도 빠짐없이 꾸준하게 가사를 썼다. 그 결과 힙합씬에서 가사를 잘 쓰는 트렌디한 래퍼 중 한 명이 되었다. 결국 어떠한 상황에서도 매일 글을 쓰려면 글 쓰는 근육이 튼튼해야 한다.
핵심은 ‘글 쓰는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글 쓰는 습관을 만들 수 있을까?
01. 댕청하게 쓴다
글은 엉덩이로 쓰지 않는다. 억지 노력으로 쓴 글은 진정성이 없다. 즐거워야 한다. 즐거운 마음이, 에너지가 글에 묻어나야 한다. 억지 노력 속에는 긴장과 공포의 에너지가 들어있다. 실수의 두려움을 버리고 글 쓰는 상황을 즐겨야 한다. 두려움을 제거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쪽팔림을 즐기는 것이다. 댕청하게 글 쓴다. 댕청해지면 즐겁고 기분이 유쾌하다. 어떻게든 술술 글이 써진다. 물론 초고는 걸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흔적을 남긴 글들은 하나둘씩 갈무리를 더해가며 연마된다. 그러니 댕청한 마음으로 글을 써보자.
한 줄이라도.
02. 공언하고 인증한다
꾸준하게 쓰는 게 핵심이다. 꾸준하게 쓰려면 강제성이 필요하다.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자. 매일 한 줄이라도 글을 쓰겠다고 공언해라. 책임감 때문이라도 어떻게든 쓰게 된다. 처음에는 한 줄이지만 글 쓰는 근육이 붙으면 두줄 세줄로 늘어난다.
나는 지금까지 제대로 턱걸이를 해본 적이 없었다. 어느 날, 누군가 쉽게 턱걸이를 하는 모습을 보고 만만하게 보고 턱걸이를 시도했지만 한 개도 하지 못했다. 그래서 오기가 생겨 틈만 나면 철봉에 매달렸다. 잘 올라가지 않는데도 어떻게든 끙끙거리며 매달렸다. 턱걸이를 위한 보조도구도 샀다. 그렇게 한 10일 정도 지났을까? 드디어 천신만고 끝에 턱걸이 1개를 성공했다.
글쓰기도 이와 같다.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못할 것 같은 두려운 생각은 애초에 하지 말자. 시작하면 어떻게든 하게 된다. 누군가 했다면 나도 할 수 있다. 그러니 지금 당장 공언하자.
“나 매일 한 줄씩 글 써요~”
03. 보상받는다
스스로에게 상을 주자. 공언하고 인증하는 습관을 일정 시간 달성했다면 스스로에게 상을 주자. 맛있는 치킨을 먹어도 좋다. 자신에게 선물을 줘도 좋다. 작지만 소소한 보상시스템을 만들어서 글 쓰는 과정이 일이 되지 않고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항상 흥미진진하게 만들고 유지하자.
04. 틈나는 대로 메모한다
불현듯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가 있다. 그럴 때는 무조건 메모하자. 휴대폰 메모장도 좋다. 녹음 어플을 사용하는 것도 추천한다. 앉아서 글을 쓸 때보다 말로 이야기할 때 더 자연스럽게 이야기가 되는 경우들이 있다. 요즘은 기술이 좋아져서 음성을 텍스트로도 변환해 주는 기술이 있으니 걱정하지 말자. 휴대폰 단축키로 녹음앱을 세팅해 두고 생각나면 수시로 녹음하고 글감으로 활용하자.
05. 하루의 시작을 글쓰기로 시작한다
가장 중요한 일은 처음에 처리한다. 왜냐하면 가장 에너지가 넘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여유시간을 찾으려고 하면 보통 퇴근 후를 생각하는데 일을 마치고 돌아오면 녹초가 되기 때문에 글을 쓸 여력이 남지 않는다. 글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면 가장 에너지가 쌩쌩할 때, 하루를 시작하는 첫 임무로 글쓰기를 선택하자.
06. 환경에 변화를 준다
지루함은 창의력의 적이다. 글쓰기는 일종의 창작이다. 지루하고 재미가 없으면 창작이 잘 되지 않는다. 그럴 때는 환경을 바꾼다. 밖에 나가서 가볍게 산책을 해본다던지 동네 분위기 좋은 카페에 가본다. 세계적인 작가 스테판 킹도 매일 산책하는 습관을 들였다고 한다.